대학생활

지역발전과 인재양성의 요람, 국립안동대학교!

박물관

박물관

  • Tel. 054-820-7421~2
  • Fax. 054-820-7423
  • museum@andong.ac.kr

목적

박물관은 정문 진입로 좌측에 조성된 야외박물관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립 목적은 역사, 고고, 민속자료 등을 발굴?수집?전시하여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수와 학생의 연구활동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며, 지역민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킴에 있습니다. 1979년 3월 12일 개교와 더불어 개관하였으며, 현재 12,387여 점의 유물을 소장, 전시하고 있습니다. 학술활동으로는 발굴조사나 지표조사, 특별전시회 등과 관련한 [박물관 총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소장품(2010년 1월 현재)

소장품 현황

소장품 현황
구분 토도류 금속류 옥석류 목죽류 서화류 직물류 기타
일반유물 759 642 167 722 6,421 642 765 10,118
매장문화재 1,473 425 354 17 2,269
2,232 1,067 521 722 6,421 642 782 12,387

중요 소장품

지정 문화재
  • 홍극가 묘 출토복식 4점(중요민속자료 제40호)
  • 안동석사자 2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호)
  • 역동서원(경상북도 기념물 제146호)
선사시대 돌칼, 돌도끼, 무문토기, 검파두식 등
역사시대 토도류, 금속류, 직물류, 목죽류, 서화류 등
기증품 이만형(李晩瀅) 선생 유품 등

전시

상설전시실

2008년 3월 20일 재개관한 상설전시실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져서 학과단위 강좌나 본교를 방문한 손님들의 탐방장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원이엄마 영상실’을 비롯해 ‘역동서원 조망실’, 병든 남편의 쾌유를 기원하며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삼은 ‘미투리’ 등은 우리대학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는 자랑거리입니다.

특별전시실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주제로 매년 1회 실시합니다. 이 가운데 안동시 정하동 고성이씨(固城李氏) 문중 묘에서 출토된 복식을 중심으로 개최한 “450년만의 외출”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 특히 한글로 된 “원이 엄마의 편지”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미이라” 등은 KBS 추적 미스테리 “미이라 그것이 알고 싶다” KBS 역사스페셜 “조선판 사랑과 영혼” 등에서 자세히 보도되어 전국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또한 편지와 함께 출토된 ‘미투리’는 세계적인 다큐멘터리 저널 ?내셔널지오그래픽?(2007년 11월호)를 비롯해 중국 CCTV-4 등에 소개되어 전 세계인을 감동시켰습니다.

야외전시장

안동석사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호)를 비롯해 범씨동 석불, 석등, 연화문 좌대 등 40여 점의 석조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이들은 명륜동 절터(현재 안동시청 자리로 안동향교, 안동대학 등이 있었음)를 비롯해 안동지역 곳곳에 있던 것을 명륜동 캠퍼스에 모아 두었던 것인데, 1983년 현 위치로 옮겨왔습니다.

관람이용

관람이용
구분 전시실
평일 09:30 ~ 17:00
토·일요일, 공휴일 및 개교기념일 휴관일

유의사항

  • 관람자가 진열품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모사 하고자 할 때에는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 부피가 큰 휴대품이나 악취가 풍기는 물품은 관내에 가지고 들어 갈 수 없습니다.
  • 진열품에 손을 대서는 안됩니다.
  • 관람자는 정숙하게 관람하여야 하며 절대 금연입니다.

박물관 도서

박물관 도서는 총 85,000여권으로 본교 학생이나 교직원이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 기한 및 수량

대출안내
구분 대출기한
대학생(학부) 5책 1개월
대학원생 10책 1개월
직원, 조교 10책 1개월
교수 20책 1개월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박물관
  • 전화번호054-820-74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