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지역발전과 인재양성의 요람, 국립안동대학교!
안동대 민속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팀과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팀이
공동 주최하는 <2023년 4단계 BK21 공동 국제학술대회> 행사를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 주제 : 인류세 시대,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대응Ⅱ
□ 일시 : 2023년 2월 3일(금) 14:00~2월 4일(토) 13:30
□ 장소 : 경북대학교 인문한국진흥관 B102 (온라인 ZOOM 병행)
□ 주최 :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4단계 BK21교육연구팀 / 대학혁신지원사업
안동대 민속학과 4단계 BK21교육연구팀 / 실천민속학회
이번 학술행사는 경북대에서 이루어지며 온라인(ZOOM) 진행도 병행합니다.
온라인으로 참가하는 분들께서는 아래 줌(ZOOM) 주소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발표자료집은 온라인 줌(ZOOM)으로 참여하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부 행사 프로그램은 첨부한 리플릿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4단계 BK21교육연구팀
【국제학술대회 일정】
2월 3일 (금)
14:00~14:10 | 인사말 이진교(안동대 민속학과BK21 Four교육연구팀장) 이성주(경북대 고고인류학과BK21 Four교육연구팀장) | |
세션1.사회적 결합의 과거,현재,미래 | 사회:이한주(한국,경북대) | |
14:10~ 14:45 | 동아시아의 사회적 결합 비교 서설 | •발표:미야지마 히로시(일본,도쿄대) •토론:아라키 준(한국,경북대) |
14:45~ 15:20 | The Revolution Starts with Giving up Sons: Memories of Deforestation and Reproduction under Socialist Ethiopia | •발표:박영수(미국,하버포드대) •토론:설병수(한국,경북대) |
15:20~ 15:55 | 향토로의 회귀:중국 향토 가치의 재인식 | •발표:샤오팡(중국,베이징사범대) •토론:이용범(한국,안동대) |
15:55~16:15 | 휴식 | |
세션2.지역 공동체의 역사,환경,사회 | 이한승(한국,안동대) | |
16:15~ 16:50 | 두 마을 이야기: 1960~70년대 농촌의 일상생활 속 자연적‧사회적 사건 | •발표:안승택(한국,경북대) •토론:한양명(한국,안동대) |
16:50~ 17:25 | 초고령 사회 일본의 지역 공동체의 현실문제에 대한 민속학적 대응 | •발표:야마 요시유키(일본,간세이가쿠인대) •토론:이진교(한국,안동대) |
17:25~ 18:00 | 도시 달동네 활성화사업의 문화적 의의와 과제:벽화마을·생활문화공동체·도시재생 사업을 한 어떤 마을의 사례 | •발표:배영동(한국,안동대) •토론:박충환(한국,경북대) |
18:30~ | 만찬 |
2월 4일 (토)
세션3.공동체적 삶의 전 지구적・지역적 맥락 | 사회:정유진(한국,경북대) | |
09:30~ 10:05 | 서구 제국주의와 존재론적 전회를 돌아보기:남동 알래스카를 중심으로 | •발표:정형민(한국,경북대) •토론:김정현(한국,안동대) |
10:05~ 10:40 | 원주지역 공동체문화 실천의 전환과 특이점들:커먼즈와 다중의 논의를 발판 삼아 | •발표:최민지(한국,안동대) •토론:석효정(한국,통영국제음악재단) |
10:40~ 11:15 | ‘밝은누리’공동체의 실천 양상과 특이성 | •발표:안솔잎(한국,안동대) •토론:방태곤(한국,경북대) |
11:15~ 11:35 | 휴식 | |
세션4.인간-사물 네트워크로서 지역사회 | 사회:이중구(한국,안동대) | |
11:35~ 12:10 | 전통도자기 제작 기술전승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요인: 경상북도 문경시와 경기도 여주시를 중심으로 | •발표:서별(한국,안동대) •토론:김희경(한국,경북대) |
12:10~ 12:45 | 문경 도자기 마을의 인간과 물질 | •발표:김희예(한국,경북대) •토론:김영윤(한국,안동대) |
12:45~ 13:20 | ‘경계물’로서 혈액의 익명화 | •발표:황찬비(한국,경북대) •토론:정은정(한국,안동대) |
13:20~ | 폐회사 |